뉴스룸 > 보도자료·발표문
보도자료
9월 BSI(93.2) 부진, 반도체는 美 관세 우려로 기준치(100) 하회
- 종합경기 전망 BSI(9월 93.2), ’22.4월(99.1) 이후 3년 6개월째 연속 부진
- [업종별 BSI] 제조업(92.6)·비제조업(93.8) 2개월 연속 동반 악화
* [제조] 반도체 포함 전자·통신장비[94.7], 美 관세 불안으로 전월(111.1) 比 16.4p↓
* [비제조] 건설업(83.7), ‘22.10월(91.1) 이후 3년 연속 부진, 전업종 중 최장기 부진
- [부문별] 내수(91.7)·수출(92.6)·투자(90.6), 1년 3개월 연속 트리플 악화
- 민관 협력으로 국제정세 대응 및 투자(설비·건설) 활성화로 내수진작 필요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이하 ‘BSI’)를 조사한 결과, 2025년 9월 BSI 전망치는 기준선 100주1)을 하회한 93.2을 기록했다. BSI는 2022년 4월(99.1)부터 3년 6개월 연속주2) 기준선 100을 하회하고 있다.
* 주1) BSI가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긍정 경기 전망, 100보다 낮으면 부정 경기 전망
* 주2) BSI 전망치 : 99.1(’22.4월) 97.2(5월) 96.3(6월) ... 94.7(’25.6월) 94.6(7월) 92.6(8월) 93.2(9월)
8월 BSI 실적치는 92.0로 조사됐다. 2022년 2월(91.5)부터 3년 7개월 연속 부진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92.6)과 비제조업(93.8)의 2개월 연속 동반 부진이 이어졌다. 제조업 BSI(92.6)주3)는 2024년 4월부터 1년 6개월 연속, 비제조업 BSI(93.8)주4)은 지난달에 이어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 주3) 제조업 BSI 전망치 : 100.5(’24.3월) 98.4(4월) 95.5(5월) 95.9(6월) ... 84.2(’25.1월) 93.0(2월)95.1(3월) 92.0(4월) 79.2(5월) 96.0(6월) 86.1(7월) 87.1(8월) 92.6(9월)
* 주4) 비제조업 BSI 전망치 : 103.4(’25.7월) 98.3(8월) 93.8(9월)
제조업 세부 업종(총 10개) 중에서는 호조 전망을 보인 ▸의약품(125.0)과 ▸식음료 및 담배(106.3) ▸자동차 및 기타 운송장비(103.0)를 제외한 ▸비금속 소재 및 제품(66.7) 등 나머지 7개 업종주5)에서 부진이 전망되었다.
* 주5) ▸비금속 소재 및 제품(66.7)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80.8)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4.6) ▸목재·가구 및 종이(85.7) ▸석유정제 및 화학(92.3)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94.7) ▸전자 및 통신장비(94.7)
한경협은 제조업 심리부진이 지속되는 이유로 대외 통상 리스크와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주6)에 따른 시멘트 등 원자재 수요 위축을 꼽았다.
* 주6) 건설기성액(%, 불변, 전년동기비, 한국은행) : 4.0(’24.1Q)→ △3.1(’24.2Q)→ △9.1(’24.3Q)→ △9.7(’24.4Q)→ △21.2(’25.1Q)→ △17.5(’25.2Q)
※ [첨부] 1. 업종별 전망(종합경기) 2. 부문별 전망
※ [별첨] 통계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