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행사·세미나

뉴스룸 > 보도자료·발표문

뉴스룸

보도자료·발표문

보도자료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 영향 및 대책

  • 작성일 : 2025-05-26
  • 조회수 : 7211

美 관세정책 지속시 금년 수출 4.9% 감소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 영향 및 대응과제 설문조사 -


- [경영애로] ①미국의 잦은 관세정책 변경(24.9%), ② 글로벌 경기악화(24.0%)

- [사업전망] 수출 △4.9% 감소, 매출 △6.6% 감소, 영업이익 △6.3% 감소

* 수출(%) : <감소>전기/전자(△8.3), 자동차/부품(△7.9), 석유화학(△7.2), <증가>선박(10.0), 바이오(1.6)

- [정책과제] ① 협상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②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 [협상대책] ① 비관세장벽 해소 노력(45.3%), ② 금리 인하(23.4%)

- [향후전망] 관세분쟁 6개월 이상 지속, 관세정책은 韓‧ 美 기업 모두 부정적 영향

 

 기업들은 미국의 잦은 관세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와 관세분쟁發 글로벌 경기 악화를 우려하고 있고, 정부가 비관세장벽 해소 등 미국과의 성공적 협상을 통해 대미 관세율 인상 최소화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최대 실무애로는 미국 수입업체와의 단가 조정 협상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150개사 응답)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영향 및 대응과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요인으로 ‣트럼프정부 관세정책의 잦은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 관세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악화(24.0%) ‣미국 수출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 중국 덤핑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을 꼽았다.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기업이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하는 실무애로와 관련해서는 ‣미국 수입업체와의 단가조정 협상(53.4%), ‣미국 현지 통관절차 관련 정보(21.3%), ‣원산지 판정 기준 관련 세부정보 파악(13.3%) 순으로 나타났다.



美 관세정책 지속시 수출 4.9% 감소, 매출 6.6% 감소, 영업이익 6.3% 감소 전망

  

  기업들은 美 정부의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2025년 수출액은 2024년에 비해 평균 4.9%주1) 감소한다고 응답했다. 업종별 감소율은 ‣전기·전자주2) △8.3% ‣자동차·부품 △7.9% ‣석유화학·석유제품 △7.2% ‣일반기계 △6.4% ‣반도체 △3.6% ‣철강 △2.8%이다. 미국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선박과 의료·바이오헬스는 수출액이 각각 10.0%, 1.6%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주1) 응답 전망치 산술평균 기준

 * 주2) 전기/전자는 디스플레이, 컴퓨터, 이동통신기기를 합하여 산출


  한편 美 정부의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국내 수출 대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6%, △6.3%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협상 통해 관세율 최소화하고,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해야 


  美 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한 기업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조달·물류 구조 재조정(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16.5%)▸동종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15.1%), ▸원자재 리스크 관리강화(12.3%), ▸투자연기 및 축소(7.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정부의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대상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수출 애로 업종에 대한 금융 및 세제지원(9.4%)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원활한 대미 관세 협상 위해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 필요


  우리 정부가 미국 정부와 원활한 관세협상을 위해 사전에 추진해야 할 대책과 관련해서는 ▸미국이 주장하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방안 제시(12.5%), ▸미국제품 수입 확대(8.9%)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한편 기업들은 2025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을 1,433.2원주3)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원·달러 환율 리스크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수출입 단가 조정(22.3.%), ‣수출시장 다변화(20.8%), ‣생산성향상 등 기업경쟁력 강화(19.8%), ‣원자재 및 부품 수입처 다변화(17.3%), ‣환헤지 전략확대(10.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 주3) 응답 전망치 산술평균 기준





美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무역시장 불확실성, 6개월 이상 지속 전망


  수출 대기업 열 개사 중 여덟 개사는 美정부의 관세정책이 우리나라와 미국 기업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81.3%)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고, 관세분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84.0%)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미중간의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불구하고, 미 무역적자 지속, 신용등급 강등, 후속 관세협상 난항 등으로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라며, "정부는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는 한편, 국내기업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협상전략을 강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별첨]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영향 및 대응과제 조사표